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탄소세 도입, 지자체 재정 좋아지고 주민 부담은?
톤당 $10~50 탄소세 도입 시 발생하는 세수 규모, 지자체 재정 전망, 주민의 세부담과 대응 설계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탄소세, 지역 재정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
탄소세를 도입하면 톤당 세금을 부과해 정부와 지자체에 안정적인 세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전국 단일 탄소세보다 지역별 차등 탄소세는 수도권·경남 등 일부 지역에 더 큰 부담을 주지만, 공통세율이 오히려 GDP 손실을 줄이고 경제 전체에 효율적이라는 결과가 있습니다
지자체 재정 확충, 얼마나 기대되나?
- 전경련 분석 기준으로 1톤당 $10~50 탄소세 도입 시 7조 3천억~36조 3천억 원 규모 세수 발생 예상
- 이 세수는 지방교부세, 기후투자, 탄소중립 사업 비용으로 지역 기반 기후 대응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민 부담은 어떻게 달라질까?
탄소세는 에너지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저소득층에 역진적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세수를 가구 단위로 환원할 경우 부담 경감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 에너지 수요 자체가 낮은 저소득층은 탄소세 부담 적음, 역진성이 있으나
- 세수 활용 방식에 따라 누진적(re-distributive) 부담 구조 가능
산업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 중심 지역은 생산 비용 증가 및 수요 축소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별 영향은 산업 연관 효과로 인해 지방 간 편차는 크지 않다는 분석 결과도 있습니다.
요약: 탄소세 + 세수 환원 = 지역·주민과 상생
- 탄소세 도입 시, 지자체 재정확대와 기후사업 집행 기반 마련 가능
- 주민 부담은 세수 환원 설계에 따라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음
- 산업 부담은 지역·산업 특성에 맞춰 보완 정책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