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탄소세 도입, 산업계 어떻게 지킬까?
탄소세 도입 시 비용 부담이 커지는 철강·화학 등 산업계에 대한 정책적 완화방안을 국내외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산업계에 몰리는 탄소세 부담
탄소세가 도입되면 에너지 집약적 산업(철강·시멘트·화학)은 생산비용 상승과 경쟁력 약화를 우려합니다. 특히 수출 중심의 업종은 국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과 맞물려 민감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완화를 위한 핵심 정책 수단
- 세액 공제·감면: CCUS 설비 도입 시 투자비의 50% 세액 공제
- 탄소계약대응금(CCfD): 독일의 사례처럼, 탄소 가격 변동 리스크 보호용 보조금 제공
- 탄소배출권시장 참여 확대: 잉여 배출권 판매 통한 수익 창출 유도
- 기후기술·R&D 자금 지원: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펀드 및 공공 R&D 투자 강화
해외 사례 비교
- 캐나다: 산업부문에만 가격 적용하는 OBPS 방식 → 과잉 배출 시 비용 지불, 저감 시 인센티브 제공
- 일본: 전국 탄소세와 도쿄의 지역 ETS 병행 운용, 민관 협력으로 기업 부담 최소화
- 독일: CCfD 방식 도입 → 기업이 감축하면 국가가 탄소비용 차액 보조
한국에 맞는 정책 설계 방향
- CCUS 세제 지원 및 CCfD 유사 모델 실증 추진
- R&D 자금 및 녹색펀드 투자를 통한 산업 전환 지원
- CBAM 대응 역량 강화용 기후기술 플랫폼 구축
- 중소기업 탄소세 부담 경감 위한 계층적 보조 체계 필요
탄소세는 환경 비용 내재화의 핵심 수단이지만, 산업계에 일방적 부담이 전가되면 글로벌 경쟁력 훼손 우려도 큽니다. 세계적 정책 사례는 “보상과 인센티브 → 산업의 전환”이라는 유연한 흐름을 보여줍니다. 이를 참고해 한국의 탄소세 정책도 공정하고 지속가능하게 설계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